아무리 친한 친구나 관계이더라도 돈 관련 거래에 대해서는 신중하게 진행해야 함을 의미한다. 중국인과 사업을 같이 하다가 실패했다. 사기 당했다. 셀 수 없을 만큼 자주 듣는 이야기다. 그런데 실패 현상에 대한 사례는 무수한데 그 원인과 대처방법은 별로 거론되지 않는다. 특히 회사 안에서 개인이익을 우선시하는 사조직이 은밀하게 조종하는 경우가 있다. 직접 경험한 사례다. 널리 알려진 중국 대기업 과장출신 현지인을 부장 급으로 영입하여 보상부문 책임자로 보임했다. 그런데 거래하고 있는 여러 정비업체 중에서 유독 한 곳이 단가가 심하게 높았다. 그대로 넘어 갈 수 없어 조사에 들어갔다. 담당 실무직원은 아무리 설득해도 문제가 없다고 버틴다. 결국 외부 도움을 받아, 보상 책임자와 문제 정비업체가 오래전부터 긴밀한 관계였고, 부정한 방법으로 회사 돈을 횡령한 사실을 밝혀냈다. 담당 직원도 보상 책임자와 한 통속이었음은 물론이다. 더 황당한 일은 그 다음이다. 내부감사인이 보상 책임자 부정행위 조사 문답서를 작성한 후, 조서 날인을 거부하는 것이다. 보상 책임자가 그 정도 수준의 부정행위를 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것이고, 개인적으로 친분이 두텁다는 이유다. 조직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이 겪는 어려움들 중에 하나는 빠른 성과를 재촉하는 한국 본사의 요구와 현장에서 벌어지는 실제 상황과의 괴리를 좁히는 일이다. 중국인들은 우리보다 의리를 훨씬 중요하게 생각한다. 의리는 쌍방의 주고받음이다. 일반적으로 중국인들은 주고받음에 매우 능숙하다. 또한 단기적이지 않다. 긴 호흡으로 길게 바라본다. 결과물에 집착하는 한국 기업들의 사고방식이 달갑게 여겨질리 없다. 특히 중요한 업무의 부탁전후가 다른 행태는 심한 불쾌감을 유발하게 되므로 조심해야 한다. 한국 금융기관들이 앞 다투어 중국진출을 준비할 무렵, 설립 허가권을 쥐고 있는 감독당국의 담당 과장을 접촉하기 위해 모든 회사들이 심혈을 기울였다. 더욱이 담당 과장은 해외 유학파로 실력뿐 아니라, 상당한 집안 배경을 갖고 있다는 소문이 도는 인물이었다. 면담 신청을 수차례 해도 거절하기 일쑤였고, 본사 대표이사급이 방문해도 시큰둥한 반응으로 일관했다. 서울에서 열린 국제세미나에 참석차 방한한 담당 과장을 영접하려는 금융기관들 간의 경쟁은 가관이었다. 얼마 후 예상치 못한 일이 발생했다. 담당 과장이 좌천된 것이다. 지방에 위치한 국영 금융회사로 밀려난 것이다. 대부분 회사
중국 최대 왕홍 페스티벌 ‘2019 슈퍼왕홍절’이 서울에서 개최된다. 11일 이번 행사를 진행하는 웨이보 빅아이이앤씨는 ‘2019 슈퍼왕홍절’의 서울 개최를 알렸다. 슈퍼왕홍절엔 웨이버 팔로워 1000만 명 이상 보유한 엄청난 파급력을 가진 왕홍들이 참석한다.금년 슈퍼왕홍절에도 장따이, 웨이야, 리자치와 같은 유수 왕홍들이 50명 이상 초청되며 한국기업 인사들과 만남의 시간도 가질 예정이다. ‘슈퍼왕홍’은 홍보와 세일즈에 있어 막강한 힘을 가진, 단일 팬매매출 100억 원 이상의 왕홍을 뜻한다. 그들은 중국내 막강한 브랜드 블로거이며, 엄청난 인플루언서로 알려져 있다. 이들과 한국 기업 제품이연결되어 14억 인구를 가진 중국으로 뻗어나가는 것이다. 이번 ‘2019 슈퍼왕홍절’은 총 3부 섹션으로 진행될 예정이며, 연말 시상식 분위기를 연출할 예정이다. 특히 3부 레드카펫 시상식이 진행되며, 한국 상품 홍보에 힘써준 슈퍼 왕홍에게 시상과 애프터파티를 진행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스페셜 이벤트로 슈퍼콜라보가 열리는데, 오는 11월 11일 중국판 블랙프라이데이로 알려진 광군제를 중심으로,한국 기업이 중국 진출로 훌륭한 시너지를 창출해 할 수 있도록 지원
최근 마라탕, 마라샹궈 등 중국의 대표적인 음식들이 뜨거운 관심과 사랑을 받자 중국 맥주의 소비량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씨유(CU)는 20일 올해 1~5월 수입 맥주 매출을 분석했는데, 그 중 대표적인 중국 맥주 ‘칭따오’가 전체 수입 맥주 판매량에서 3위를 차지했다. 과거 2014년에 매출 비중은 4.9%였던데 비해 이번에 10.2%로 크게 올랐다. 최근에 중국 당면 분모자가 흥하고, ‘마라’ 향신료가 큰 인기를 얻는 등 중국 관련 음식에 큰 관심을 소비자들이 보이며, 중국 맥주 수요도 함께 올라간 것으로 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이번 씨유의 분석에 따르면 1위는 일본 맥주의 대표 아사히가 27.5%를 차지하며 이름 올렸고 이어 벨기에 맥주 ‘호가든’이 14%를 차지하며 2위에 올랐다. 또한 과거 큰 인기를 끌었던 뉴질랜드 맥주 ‘KGB’는 올해 10위권 밖으로 밀려나는 수모를 겪었다. 지역별로 살펴봤을 때 올해 강세 지역은 유럽으로, 판매량의 절반에 가까운 49.8%를 차지했다. 과거 2014년 일본 맥주가 강세를 보이며 아시아 맥주가 43%로 1위에 올랐으나 올해는 유럽 맥주에 밀려 2위인 41.4%를 차지했다. CU 관계자는 “수입 맥주…
중국 온라인 콘텐츠 업계에 ‘브이로그(video blog, vlog)’가 새로 주목받는 콘텐츠로 급부상해 눈길을 끌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아이미디어 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중국 브이로그 이용자 수는 2억 490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2020년까지 4억 8800만 명까지 이용자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브이로그는 비디오(Video)와 블로그(blog)의 합성어로 개인의 일상을 동영상 형식으로 담아낸 콘텐츠를 일컫는다. 리서치 기관에 따르면 대다수 이용자가 웨이신(微信,58.3%) 및 동영상 플랫폼(유쿠·아이치이,56.9%)을 통해 브이로그를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 이용 계층은 대졸 이상 학력을 가진 30대 남성이며 이들이 전체 이용자의 과반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이로그 열풍에 중국 콘텐츠 업체들은 빠르게 대응에 나섰다. 크리에이터 육성에 대한 지원을 전폭적으로 아끼지 않는 것. 동영상 플랫폼 비리비리의 경우 지난 5월 브이로그 크리에이터 육성을 위해 매월 100만 위안 가량의 지원금을 제공할 것이라 밝힌 바 있다. 틱톡 역시 지난 4월부터 인기 브이로그 크리에이터를 대상으로 콘텐츠 노출량을 증가시키는 지원책을 펼치고 있다
판다 이미지 디자인 국제 공모전에서 ‘아푸(阿璞)’가 1위를 차지했다. 12일 펑파이신문(澎湃新闻)에 따르면 ‘중국 판다 글로벌 이미지 디자인 공모전’ 심사결과가 아푸(阿璞)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푸는 수정과정을 거쳐 영화와 드라마, 문예창작 작품에 나오게 되며, 국제교류 활동에서도 광범위하게 사용돼 중국 문화를 홍보하게 된다. 심사위원들은 아푸(阿璞) 선정 배경에 대해 중국 판다와 ‘세계 신(新) 청년’이라는 주제에 부합하며, 글로벌하고 있는 중국 신 청년의 생기와, 활력, 낙관, 자신감 등을 잘 표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공모전은 국무원신문행정부서과 국가임업 및 초원국(草原局)의 지도하에, 오주(五洲)미디어센터과 중국판다보호연구센터 등이 주최했다. 지난 2월부터 6월까지 22개 국가에서 온 2023개 작품을 받아 전문가 심사와 인터넷 투표를 종합해 아푸(阿璞)를 선정했다. 출처=중국중앙신문 캡처
중국 사회가 최근 몇 년 동안 혼인율 하락과 만혼(晩婚), 높아지는 이혼율 등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중국 내에서 경제 구조의 불평등 확대로 인한 사회 병리 현상이 심각해지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또한 혼인·이혼에 대한 의식이 선진화하는 과정에서 겪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4일 중국 온라인 매체 펑파이(澎湃) 등에 따르면, 최근 중국 국가통계국은 혼인율이 지난 2013년부터 5년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인구 1000명당 혼인 건수를 뜻하는 혼인율은 지난해 7.2건으로 사상 최저치로 집계됐다. 또한 경제가 발달한 지역일수록 혼인율이 낮고 저개발 지역은 수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상하이(上海)와 저장(浙江)성의 혼인율은 각각 4.4건, 5.9건으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반면 구이저우(貴州)성은 11.1건으로 가장 높았고, 칭하이(靑海)성, 안후이(安徽)성, 시짱(西藏·티베트)자치구 등도 매우 높은 혼인율을 기록했다. 혼인율이 낮아지면서 만혼 현상도 심각해지는 상황이다. 중국 민정부에 따르면, 2012년까지 전체 연령 중 혼인신고 비중은 20~24세가 가장 높았으나 20